수산업현황
행복한 마음, 신나는삶, 밝은 화천군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관내 댐호 현황
구분 / 댐호별 | 화 천 댐 | 춘 천 댐 | 비 고 |
---|---|---|---|
담수일 | 1944년 | 1965년 2월 | |
담수면적 | 3,895㏊(화천군 2,805) | 1,432㏊(화천군 737) | |
총저수량 | 1,018백만톤(화천군656) | 150백만톤(화천군 61) | |
만 수 위 | 181m | 103m | |
저 수 위 | 156.8m | 98m | |
댐 높 이 | 81.5m | 70m | |
댐 길 이 | 453m | 453m |
어가 및 어업인 현황
우리군은 산세가 수려하고 계곡이 깊을 뿐만아니라 한강의 최북단에 위치 북쪽에서 맑고 깨끗한 수질이 흘러 내려와 맑은물을 보존하고 있으며, 또한 댐호 2개소, 하천 13개소 등이 있어, 붕어와 고급어종인 쏘가리, 뱀장어 등이 다량 서식하고 있다.
어족자원 고갈을 예방하고 어족자원을 이용한 미래 관광자원 활용을 위하여 2008년부터 어선을 감척하여 현재는 어선어업 4가구 6명이 어업활동을 하고 있다.
어선세력 및 동력수상레저가구 등록 현황(어선세력 현황)
(단위 : 척)
년도별 | 어선(어업인) |
---|---|
2002 | 31 |
2003 | 31 |
2004 | 31 |
2005 | 31 |
2006 | 31 |
2007 | 31 |
2008 | 31 |
2009 | 9 |
2010 | 9 |
2011 | 4 |
2012 | 4 |
2013 | 4 |
2014 | 4 |
2015 | 4 |
2016 | 4 |
2017 | 4 |
2018 | 4 |
2019 | 4 |
2020 | 4 |
2021 | 4 |
2022 | 4 |
2023 | 4 |
2024 | 4 |
육상양어장 현황
상 호 | 소재지 | 면 적(㎡) | 양식어종 |
---|---|---|---|
원천리 산천어 양식장 | 화천군 하남면 하남면 원천리 1086 | 500 | 산천어 |
유촌수산 | 화천군 간동면 온수길 25-14 | 632 | 산천어 |
청정수산 | 화천군 상서면신풍리 759 | 360 | 송어 |
송화수산 | 화천군 하남면 용화산로 1139-43 | 480 | 송어,산천어 |
삼일수산 | 화천군 사내면 삼일리 367 | 388 | 산천어 |
김화경수산 | 화천군 화천읍 한묵령로 180-7 | 490 | 산천어, 송어 |
강원양어장 | 화천군 사내면 화악산로 589 | 420 | 송어 |
엘림양어장 |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1068 | 1,162.37 | 산천어 |
산속호수마을산채농원작목반 | 화천군 화천읍 호음로 812-10 | 674 | 잉어, 붕어 |
만세양식장 | 화천군 사내면 돈내미길 228 | 21 | 개구리 |
허니 미꾸리 농장 | 화천군 상서면 영서로 8821-142 | 2,650 | 미꾸리 |
배후령수산 |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755-1 | 419.1 | 산천어 |
나사양식장 | 화천군 간동면 파로호로 747-11 | 493.56 | 산천어,송어 |
화천수산 |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705 | 1,035 | 산천어,송어 |
광덕양어장 |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585번지 | 451 | 산천어 |
최강송어양식장 |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 33 | 452.16 | 산천어, 송어 |
내수면 자원조성
우리군은 댐호의 수중생태계 파괴 및 수산자원 감소로 인위적 자원조성을 통하여 어족자원을 증식시키고자 뱀장어, 쏘가리, 메기 등의 어종을 대단위로 방류하고 있으며, 특히 향토어종의 보호를 위해 붕어, 잉어 등을 집중 방류하여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도모하고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
어종별 방류량
(단위 : 마리,천원)
년도별 | 어종명 | 방류량 | 사업비 | 방류장소 | 비 고 |
---|---|---|---|---|---|
2002 | 뱀장어,붕어 등 | 448,000 | 47,900 | 춘천호, 파로호 | |
2003 | 쏘가리,뱀장어 등 | 716,000 | 68,600 | 춘천호, 파로호 | |
2004 | 뱀장어,참게,쏘가리 등 | 2,502,000 | 234,200 | 춘천호, 파로호 | |
2005 | 뱀장어,참게,쏘가리 등 | 1,303,000 | 280,000 | 춘천호, 파로호 | |
2006 | 뱀장어,참게,쏘가리 등 | 1,660,000 | 328,000 | 춘천호, 파로호 | |
2007 | 뱀장어,참게,쏘가리 등 | 1,281,000 | 167,000 | 춘천호, 파로호 | |
2008 | 뱀장어,참게,쏘가리 등 | 1,892,000 | 252,000 | 춘천호, 파로호 | |
2009 | 뱀장어,붕어,쏘가리 | 1,04,000 | 263,700 | 춘천호, 파로호 | |
2010 | 붕어,쏘가리,다슬기 등 | 358,000 | 83,839 | 춘천호, 파로호 | |
2011 | 붕어,쏘가리,다슬기 등 | 1,203,000 | 137,521 | 춘천호, 파로호 | |
2012 | 뱀장어,참게,쏘갈 등 | 3,694,455 | 248,000 | 춘천호, 파로호 | |
2013 | 쏘가리,참게,동자개 등 | 2,050,232 | 126,540 | 춘천호, 파로호 | |
2014 | 뱀장어,쏘가리,다슬기 등 | 963,235 | 104,450 | 춘천호, 파로호 | |
2015 | 붕어,쏘가리,메기,다슬기 등 | 337,000 | 55,000 | 춘천호, 파로호 | |
2016 | 쏘가리,붕어,잉어 등 | 545,000 | 95,000 | 춘천호, 파로호 | |
2017 | 쏘가리, 잉어 등 | 342,983 | 80,000 | 춘천호, 파로호 | |
2018 | 붕어, 잉어 등 | 753,800 | 96,000 | 춘천호, 파로호 | |
2019 | 붕어, 잉어, 동자개 등 | 456,800 | 81,250 | 춘천호, 파로호 | |
2020 | 붕어, 잉어, 다슬기 등 | 1,115,158 | 101,250 | 춘천호, 파로호 | |
2021 | 붕어, 잉어, 뱀장어 등 | 457,700 | 73,882 | 춘천호, 파로호 | |
2022 | 잉어, 붕어 등 | 994,282 | 123,879 | 춘천호, 파로호 | |
2023 | 쏘가리, 뱀장어, 메기 등 | 1,209,652 | 150,000 | 춘천호, 파로호 |